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인생에서 가장 활력이 넘치는 시기가 20대일 텐데요. <br /> <br />그런데 젊은 층의 정신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20대 여성이 우울증에 가장 많이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는데, 이유가 무엇일까요? <br /> <br />먼저 통계를 보면, 지난해 우리나라 우울증 환자가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100만여 명 가운데, 20대 여성이 12%를 차지했고 나이와 성별로 분석해봤을 때 최다였습니다. <br /> <br />20대 여성의 우울증 진단 비율이 높은 것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오는데, <br /> <br />일단 코로나19 사태에서 원인을 찾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이나 교육난과 취업난, 그리고 사회 양극화 탓에 우울증과 불안장애가 증가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또 20대는 관계 맺기의 욕구가 큰 시기인데, 사회적 거리 두기로 대면이 단절되면서 소셜미디어에 대한 노출이 높아졌고, <br /> <br />SNS에 담긴 타인의 화려한 모습을 본 뒤 상대적 빈곤감과 고립감에 빠지게 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건데요. <br /> <br />여기에 초혼 연령이 높아져 결혼 전 독립해서 생활하는 1인 가구 여성들이 많은데, 이런 경우 주변 가족 등이 챙겨주기 어렵고, 도움을 요청하기도 쉽지 않아 우울증에 더 취약한 측면이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음주량에서 원인을 찾는 시각도 있는데요. <br /> <br />20대 여성의 월간 폭음률, 그러니까 월 1회 이상 한 번 술자리에서 5잔 이상 술을 마시는 비율이 지난 2010년~2012년에는 36.6%에 불과했지만, 2016년~2018년에는 47.1%로 뛰었다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우울증 진단 증가를 부정적으로만 보지 말아야 한다는 견해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에는 정신과에 간다는 부정적 시각 탓에 힘들어도 혼자 끙끙 앓는 경우가 많았는데, 정신건강의학과의 진료 문턱이 낮아진 것은 긍정적 신호라는 분석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요한 건, 심적 고통을 겪는 젊은 층이 늘어나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건데요. <br /> <br />우울증은 병원에서 제때 진료를 받고 약물치료를 통해 충분히 호전될 수 있는 만큼, 학교나 직장, 지역사회에서의 치료 접근성을 높이는 사회적 장치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개인의 노력도 물론 중요한데요. <br /> <br />무기력함이 2주 이상 이어지거나 불면증이 나타나 우울감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우면 진료를 받는 게 필요하고 술이나 SNS 등에 의지해 짧은 만족을 추구하는 것보다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백종규 (jongkyu8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00416572098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